반응형

미국 포닥 생활/필수 생활 정보 5

J1 포닥 세금 환급 Tax Filing - 미국에서 하는 두 번째 세금 신고

세금 신고를 두번이나 했지만 아직 세금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... 까먹기 전에 뭘 했는지 기록해두려고 쓰는 글임 일단 내 상태는 한미 tax treaty에 의해 작년의 소득에 대한 연방세와 주세 전부 면제 되었고, 학교에서 나오는 월급 외에는 수입이 따로 없었으며, non-resident alian 이었다. 내야 할 세금이 0원이기 때문에 미시간 주에는 세금 보고를 할 필요가 없었고, 연방 세금 보고는 내야 할 세금과 관계없이 해야했다. 세금 신고 절차는 간단했다. 1. FNIS (foregin national information system) 접속해서 1042-S form 출력 2. Tax Prep software (학교에서 glacier 무료로 제공했음) 사용해서 federal tax forms 출..

J1 비자 미국 포닥 세금 감면 - 한미 조세 조약(한미 세금 협정)

미국인이 아니어도 미국에 오래 거주하면서 일하면 미국에 세금을 내야 한다. J1 비자도 예외는 아님. 학교에서 입금하는 월급은 세금(federal, state (일부 주는 없음), city (일부 도시만 해당), social security, etc 세금)을 뗀 금액이다. 세금은 federal, stats tax bracket이라는걸 검색해 보면 소득에 따라 몇 퍼센트를 세금으로 내야 하는지 알 수 있다. 그런데 J1 비자는 첫 n년 동안 한미 세금 협정에 의해 세금을 면제 받을 수 있다. 포닥을 포함하는 Researcher/scholar의 경우 2년 (만으로 2년인지 tax year로 끊는건지 모르겠음), 학생/trainee의 경우 세금연도로 5년까지 라는데, 인터넷 찾아보면 하는 말이 다 달라서.....

미국 포닥 월급 및 생활비 - 연봉, 복지, deduction (세금, 보험료, 은퇴연금, FSA), 생활비 항목별 예시로 구체적인 계산

처음 미국 대학으로 포닥 왔을 땐 세금, 연봉, 베네핏 등등 뭐가 뭔지도 모르고 그냥 시작했다. 포닥 오리엔테이션 자료에 간단하게 나와있긴 했는데, 내용이 충분하지는 않았다. Retirement plan은 연금이라는 것도 모른 채 '난 아직 어린데 무슨 은퇴계획?' 이러고 대충 읽고 넘겨버리고 FSA 부분도 뭔지 잘 모르겠는데 '그 해 안 쓴 저축은 사라진다'는 내용만 보고 '무섭네, 그냥 안 해야지..' 하고 넘겨버렸다. 그러다가 나중에 주변 사람들이 관련된 얘기 하는 걸 듣고는 인터넷에서 찾아보고 다음 해 부터 신청했는데, 이런 것들은 미리 알아둘수록 exponential하게 좋다. 이 포스트는 내 경험이 쌓여감에 따라 업데이트 될 수 있음.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..

미국에서 이사 하기 - 청구서, 자동차, 보험, 비자 관련 할 일

올해 초 미시간주에서 일리노이주로 이사를 왔다. 포닥 고용은 미시간에 되어있지만 일리노이에 있는 연구소에서 자주 일하다 보니 너무 불편해서 결국 이사 오기로 결정. 미국 내에서 이사를 하려면 해야 할 것들이 많다... 1. 비자 관련 이사 할 때마다 정부에 알려야 하는 비자가 있음. 나는 J1 비자를 가지고 있는데, J1 소지자는 주소 변경 할 때 마다 정부에 보고해야 한다. 학교에 연락하니까 알아서 해줬음. --업데이트-- 영주권 서류 접수 후, 또는 받은 후 이사를 간다면 이사 후 10일 이내 USCIS에 새 주소를 통보해야 한다. AR-11 form을 작성해야 하는데, 여기서 하면 된다. https://egov.uscis.gov/coa/displayCOAForm.do. 2. 거주 관련 일단 새로운 ..

미국에서 병원 가기 - 의료보험은 무조건 좋은걸로

미국에서 병원 다니다 보면 눈물난다... 한국처럼 어디 아플 때 마다 편하게 해당 전공의를 그날 바로 보러 갈 수 있는게 아니다. 미국에서 병원 가는 방법은 보통 급하게 병원 가야 하는 경우(ex: 어디를 다쳐서 당장 치료를 받아야 함, 위염이나 장염 등 당장 약을 안 쓰면 곤란한 경우)와 천천히 병원 가도 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. 급하게 병원 가야 하는 경우 본인의 의료보험 홈페이지 또는 의료보험 ID카드에 나온 보험사 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응급실 (ER, emergency room)이 있는 In-network 병원과 의사를 검색한다. 여기서 의사가 In-network인 것도 중요하다. In-network의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도 의사가 out-of-network이면 의료보험으로 커버가 안되는 경우..

반응형